2017년에 발생한 로힝야족 인종 청소 사건은 국제 사회의 큰 주목을 받았고, 당시 프란치스코 교황의 대응은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미얀마의 이슬람 소수 민족인 로힝야족은 미얀마 군부와 정부에 의해 오랜 시간 조직적으로 탄압받아 왔으며, 이들은 주로 미얀마의 라카인 주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미얀마 정부는 이들을 불법 이주민으로 간주해 시민권을 박탈하고, 사회적·정치적 권리를 부정해왔습니다. 이러한 차별과 배제는 오랫동안 지속되었으나, 2017년에는 본격적으로 대규모 인권 침해가 발생했습니다.
2017년 8월, 로힝야 반군이 미얀마 경찰 초소를 공격한 사건을 계기로, 미얀마 군부는 로힝야족에 대한 대대적인 '소탕 작전'을 전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천 명의 로힝야족이 학살당하고, 여성과 어린이가 성폭행을 당했으며, 마을이 불타 없어지는 등 참혹한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유엔과 국제 사회는 이를 '인종 청소'로 규정하며 강력히 비난했습니다.
미얀마 내에서 로힝야족은 다수 국민들에게 적대적인 존재로 여겨졌으며, 군부는 이러한 상황을 정치적으로 활용해 왔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얀마의 실질적 지도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역의 행동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으나, 프란치스코 교황의 경우는 다르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교황은 미얀마의 정치적 상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국제 사회에서 도덕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충분한 권위와 자유가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년 미얀마 방문 당시 교황은 로힝야족 문제를 회피하며, 해당 인권 침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습니다.
이와 같은 교황의 침묵은 미얀마의 실권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역 겸 외교장관과의 회담에서도 이어졌습니다. 교황이 수치와의 회담에서조차 로힝야족 문제를 거론하지 않자, 국제 인권 단체들은 깊은 실망을 표명했습니다. 이들은 교황이 종교적 지도자로서 강력한 도덕적 입장을 취할 것을 기대했으나, 외교적 관계를 고려한 처세로 인해 그의 침묵이 오히려 인권 문제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로 비춰졌다고 비판했습니다.
교황의 이 같은 행보는 전 세계 인권 옹호자들로부터 강한 비난을 받았습니다. 그가 도덕적 리더로서 인권 문제에 대해 강력한 목소리를 내야 할 시점에 정치적 실리를 선택했다는 평가가 나오며, 이는 가톨릭 교회의 도덕적 권위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이어졌습니다. 이 같은 행동은 교황의 평소 인권 보호에 대한 메시지와도 모순되는 것으로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교황의 침묵은 국제 사회에서 그가 지녀야 할 도덕적 리더십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으며, 그의 태도는 가톨릭 교회의 인권 문제에 대한 입장과도 어긋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프란치스코 교황이 평화와 화해를 추구하는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으며, 인권 침해에 대응하는 데 있어 더욱 명확하고 단호한 입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