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이 불교계와 가톨릭 간의 갈등을 촉발하고 있습니다. 천진암과 주어사와 같은 불교 사찰이 천주교 성지로 재구성되면서 불교계는 이 과정에서 불교의 역사가 소외되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한국 사회에서 두 종교는 공존해 왔지만, 이번 성지화 논란은 종교 간 우호적 관계에 긴장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종교적 공존과 상호 존중을 위해 성지화 사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천진암과 주어사의 성지화는 두 장소가 어떻게 천주교 중심의 역사로 재구성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천진암은 본래 불교 사찰로, 조선 후기 유학자들이 서학을 연구하며 피신하던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천주교 성지로 변모하면서 불교 사찰로서의 정체성을 잃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주어사 역시 비슷한 변화를 겪으며 천주교 순례지가 되었습니다. 불교계는 이 같은 변화가 그들의 역사와 문화를 지우는 행위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천진암의 성지화 과정에서 불교적 의미를 무시하고 가톨릭적 상징물로 대체한 점을 갈등의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광주시와 수원교구가 추진하는 천진암과 남한산성을 잇는 순례길 조성 협약은 불교계의 반발을 더욱 키우고 있습니다.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당시 승군이 청나라 군대와 맞서 싸우기 위해 축조에 참여했던 역사적 장소로, 불교적 의미가 깊은 곳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주교가 이곳을 천주교 순례길로 개발하려는 시도는 불교계에 불편한 인상을 주고 있습니다. 불교계는 천주교가 이 과정에서 불교의 역사적 기여를 충분히 인정하지 않고, 역사 해석을 독점하려 한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쟁점은 천주교 성지화 사업에 국가와 지방 자치 단체의 세금이 대규모로 투입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서울시는 ‘서울순례길’을 국제 관광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수백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으며, 천진암 성지화에도 막대한 공공 자금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국가가 특정 종교의 상징성을 강화하는 데 예산을 투입하는 것이 종교적 중립성을 침해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세금이 투입된 성지화 사업이 공공의 이익보다는 특정 종교의 신앙적 상징성을 부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종교 간 갈등을 조장하고 공정성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국민의 세금이 특정 종교의 성지 조성에 사용되는 것이 정당한지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행정의 종교적 편향성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따라서,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은 보다 신중하고 공정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정 종교의 역사를 기념하는 일은 중요하지만, 그 과정에서 다른 종교의 유산이 침해되거나 소외되어서는 안 됩니다. 종교적 상징성이 강한 장소일수록 역사적 공존의 가치를 존중하며,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함께 기억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