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가톨릭 지도자를 나라에서 임명하는데 프란치스코 교황은 묵인

카테고리 없음

by only one1 2024. 11. 2. 22:11

본문

교황의 지난해 9월 몽골 방문 모습[AP 연합뉴스 자료사진 ]

 

종교 지도자를 국가가 임명한다는 소식,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는 일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종교와 정치는 분리되어야 한다는 것이 상식이지만, 이제 국가의 승인 없이는 종교 지도자가 탄생할 수 없게 된 상황입니다. 최근 교황청과 중국이 주교 임명에 대한 합의를 연장하면서, 이러한 상황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더 놀라운 점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 상황을 사실상 방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사실입니다. 교회의 독립성을 지키기보다는 정치적 타협에 동의하는 듯한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교황청은 중국과의 협력에서 "존중과 대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연 이 존중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됩니다. 수십 년 동안 정부의 탄압 속에서 독립적인 신앙을 지켜온 중국 지하 교회 신자들에게는 이번 합의가 기만처럼 느껴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제 그들은 정부의 승인을 받은 주교 아래에서 신앙 생활을 해야 합니다. 이것이 진정한 종교적 자유일 수 있는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교 임명이라는 중요한 종교적 결정이 더 이상 교회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허락을 받아야 가능한 일이 되면서, 교회의 독립성은 명목상에 그치고 말았습니다. 이번 합의를 통해 가톨릭 교회가 중국 정부의 요구에 굴복한 것처럼 보인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또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에 대해 명확한 대응을 보이지 않는 점 역시 신자들에게 실망감을 주고 있습니다.

 

이 같은 종교와 정치의 밀착 관계는 중국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같은 이슬람 국가들에서도 종교 지도자가 곧 국가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나라에서는 종교적 자유보다는 국가의 요구가 우선시되며, 종교와 정치가 분리되지 않은 채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번 합의를 통해 드러난 것은, 종교가 정치적 도구로 전락할 위험성이 있다는 현실입니다. 종교는 본래 신앙과 도덕을 가르치는 역할을 해야 하지만, 이번 중국과의 합의는 종교가 정치의 한 부분으로 흡수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제 종교 지도자를 국가가 임명한다는 말은 단순한 우려가 아닌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정치적 타협 속에서 종교의 본질이 왜곡되고, 신자들은 그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를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 상황에서 과연 종교의 독립성과 신앙의 자유가 어떻게 지켜질 수 있을지,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